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 얼마까지 면제되고 어떻게 신고해야 할까?

by 경제를배우자 2024. 7. 31.
반응형

부모님께서 경제적으로 어려우시면 자녀로서 도와드리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하지만 부모님에게 생활비를 드리는 것도 증여세가 과세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는 얼마까지 면제되고 어떻게 신고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부모님생활비증여세,얼마까지면제되고어떻게신고해야할까?-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홈으로 바로가기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란?

 

  •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란 자녀가 부모님에게 무상으로 재산을 이전할 때 발생하는 증여세를 말합니다.
  • 부모님에게 생활비, 병원비, 교육비 등을 지급하는 경우에도 증여세가 과세될 수 있습니다.
  • 증여세는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반응형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 면제 조건

 

  •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는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피부양자의 생활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비과세 됩니다.
  • 피부양자란 민법상 부양의무자에 해당하는 직계혈족 및 그 배우자를 말합니다.
  •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생활비란 필요시마다 증여받아 해당 목적으로 직접 사용한 재산을 말합니다.
  • 생활비의 명목으로 받은 돈이어도, 이를 예금, 주식, 부동산 등의 취득자금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증여세가 과세됩니다.
  •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생활비의 금액은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 소득, 재산 등 여러 가지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 면제 한도

 

  •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는 10년 단위로 증여재산공제가 적용됩니다.
  • 증여재산공제란 증여세를 과세하지 않고 면제해 주는 재산의 한도를 말합니다.
  • 부모님에게 증여하는 경우 10년 동안 6억 원까지 증여재산공제가 되고,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 10년 동안 성년자녀는 5000만 원, 미성년자녀는 2000만 원까지 증여재산공제가 됩니다.
  • 증여재산공제를 받으려면 증여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 신고 방법

 

  •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온라인으로 할 수 있습니다.
  • 홈택스 로그인 후 [상속세 및 증여세] 메뉴에서 [증여세 신고]를 선택합니다.
  • 증여자와 수증자의 정보, 증여재산의 종류와 가액, 증여재산공제의 적용 여부 등을 입력합니다.
  • 증여세 납부액을 확인하고, 납부방법을 선택하여 납부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Copyrightⓒ National Tax Service. All rights reserved.

www.hometax.go.kr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 신고 예시

 

증여자 수증자 증여일 증여재산 증여세 신고 및
납부 기한
증여세 과세
여부
증여세 납부액
자녀 부모 2024.1.1 1000만원 (생활비)  2024.3.31 비과세 0원
부모 자녀 2024.2.1 3000만원 (교육비) 2024.4.30 비과세 0원
자녀 부모 2024.3.1 1억원 (주택 취득자금)  2024.5.31 과세 1,000만원
부모 자녀 2024.4.1  5000만원 (적금) 2024.6.30 과세 2,500만원

 

 

 

2024년 법인세 세율 변화와 주요 사항

2024년에는 법인세 세율이 인하되고, 연결납세제도 적용대상이 확대되는 등 법인세 관련 세법 개정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법인의 세무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잘 알아두어야 합니

economic-studies.tistory.com

 

 

 

2024년 현금 증여세율 및 면제한도 알아보기

가족 간에 현금을 증여할 때 얼마나 증여세를 내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증여세는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과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며, 2024년부터는 혼인과

economic-studies.tistory.com

 

 

부모님 생활비 증여세는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 증여재산의 목적과 금액, 증여재산공제의 적용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부모님께서 자녀에게, 혹은 자녀가 부모님께 재산을 증여할 때에는 증여세 신고 및 납부 의무를 확인하고, 적절한 세무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