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금융소득 세율이 공개되었습니다. 금융소득은 이자소득, 배당소득, 퇴직연금소득, 신탁소득 등을 포함하는 개인의 총소득 중 일부입니다. 금융소득 세율은 금융소득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오늘은 2024년 금융소득 세율의 변동사항과 세금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금융소득 세율의 변동사항
금융소득의 종류 | 2023년 세율 | 2024년 세율 |
이자소득 | 14% | 15% |
배당소득 | 20% | 22% |
퇴직연금소득 | 9% | 10% |
신탁소득 | 25% | 27% |
이러한 세율 변동은 정부의 재정수입 확대와 소득 재분배 정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금융소득 세율의 인상은 고소득층에 더 큰 부담을 주고, 저소득층에는 세금 환급을 통해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금융소득 세금 계산 방법
세금=금융소득 ×세율−세액공제
여기서 세액공제란 금융소득에 대해 정부가 부과하는 일정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세액공제는 금융소득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2024년 세액공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금융소득의 종류 | 세액공제 |
이자소득 | 20만원 |
배당소득 | 50만원 |
퇴직연금소득 | 100만원 |
신탁소득 | 0원 |
예를 들어, 2024년에 이자소득이 1000만 원이고, 배당소득이 500만 원인 경우, 세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세금=(1000만 원 ×15%)+(500만 원 ×22%)−(20만 원+50만 원)
세금=150만 원+110만 원-70만 원
세금=190만 원
2024년 현금 증여세율 및 면제한도 알아보기
가족 간에 현금을 증여할 때 얼마나 증여세를 내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증여세는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과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며, 2024년부터는 혼인과
economic-studies.tistory.com
2024년 현금 증여세율 및 면제한도 알아보기
가족 간에 현금을 증여할 때 얼마나 증여세를 내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증여세는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과 증여자와 수증자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며, 2024년부터는 혼인과
economic-studies.tistory.com
2024년 금융소득 세율은 이전보다 인상되었으므로, 금융소득을 얻는 사람들은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세금 계산 방법을 잘 숙지하고, 세액공제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