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기후행지수란? 한국 경제의 과거를 분석하는 5가지 지표

by 경제를배우자 2024. 7. 5.
반응형

경제를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지표들을 살펴봐야 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경기후행지수입니다. 경기후행지수는 현재의 경기를 나중에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로, 과거의 경제 상태를 나타냅니다. 오늘은 경기후행지수의 정의, 구성, 의미, 그리고 한국의 최근 경기후행지수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기후행지수란?한국경제의과거를분석하는5가지지표-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홈으로 바로가기

 

경기후행지수의 정의

 

경기후행지수는 경기의 변동을 사후에 확인해 주는 지표입니다. 즉, 현재의 경기를 나중에 확인하기 위해 작성되는 지표로, 경기의 전환점이나 국면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경기후행지수는 경기선행지수와 경기동행지수와 함께 경기종합지수의 일부로 통계청에서 매달 발표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경기후행지수의 구성

 

경기후행지수는 다음과 같은 5개의 구성지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생산자제품재고지수: 제품재고의 변동을 파악하는 지표로, 제품 잔량이라 보기에 과거의 경제상태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소비자물가지수 변화율 (서비스): 서비스에 품목에 대한 물가지수의 전년동월대비 변화율로, 물가 상승률이라고도 합니다.

 

  • 소비재수입액: 소비재부문의 수입액만 집계하는 지표로, 소비재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말합니다.

 

  • 취업자 수: 취업자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취업자는 일주일 이상의 근로를 한 사람을 말합니다.

 

  • 기업어음 유통수익률: 기업어음 91일물의 단기 평균수익률로, 기업어음은 기업 간에 상품이나 서비스를 공급하고 그 대가를 받기 위해 사용하는 채권의 일종입니다.

 

경기후행지수의 의미

 

경기후행지수는 현재의 경기를 나중에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이므로, 경기후행지수가 상승하면 과거의 경기가 좋았다는 것을 의미하고, 경기후행지수가 하락하면 과거의 경기가 나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경기후행지수는 현재의 경기상태를 직접적으로 반영하지는 않지만, 경기선행지수나 경기동행지수와 비교하여 경기의 전환점이나 국면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경기선행지수가 하락하고 경기후행지수가 상승하면, 경기가 하강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기선행지수가 상승하고 경기후행지수가 하락하면, 경기가 상승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최근 경기후행지수 동향

 

지수 2024년 5월 2024년 4월 전월대비 증감률
경기선행지수 103.2 102.9 0.3%
경기동행지수 101.7 101.5 0.2%
경기후행지수 99.8 99.9 -0.1%

 

표를 보면, 경기선행지수와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각각 0.3%와 0.2% 증가하였고, 경기후행지수는 전월 대비 0.1%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현재의 경기가 상승국면에 있으며, 향후에도 경기가 계속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통계청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경제활동이 위축되었던 2023년 2분기 이후, 경기선행지수와 경기동행지수가 연속 상승하면서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하였습니다.

 

 

경기선행지수, 경제의 미래를 알아보자

경제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경제의 흐름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경제동향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경제학자들은 여러 가지 지표들을

economic-studies.tistory.com

 

 

 

경기동행지수로 경제의 흐름을 파악하자! 경기동행지수의 정의, 구성, 해석

경제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사입니다. 경제의 상황에 따라 소비, 투자, 취업 등의 결정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경제는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에

economic-studies.tistory.com

 

 

마치며

 

이상으로 "경기후행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기후행지수는 현재의 경기를 나중에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로, 과거의 경제 상태를 나타냅니다. 경기후행지수는 경기선행지수와 경기동행지수와 함께 경기의 전환점이나 국면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국의 최근 경기후행지수는 전월 대비 감소하였지만, 경기선행지수와 경기동행지수는 증가하였으므로, 현재의 경기가 상승국면에 있으며, 향후에도 경기가 계속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기후행지수를 통해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한 경제활동을 계획하는 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