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합자회사란: 합자회사의 장단점 설립 및 예시

by 경제를배우자 2023. 12. 30.
반응형

합자회사란 무한책임사원과 유한책임사원으로 이루어진 회사로서, 무한책임사원이 사업을 경영하고 유한책임사원이 자본을 제공하고 이익의 분배에 참여하는 회사입니다. 합명회사와 마찬가지로 친한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업을 하는 데에 적합한 회사형태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합자회사의 장단점과 설립 및 예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합자회사란:합자회사의장단점설립및예시-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홈으로 바로가기

 

합자회사의 장점과 단점

 

합자회사의 장점

  • 무한책임사원은 신용출자나 노무출자를 할 수 있어 자본의 조달이 용이합니다.
  • 유한책임사원은 출자액을 한도로 책임을 지므로 투자의 위험이 낮습니다.
  • 유한책임사원은 회사의 업무집행 및 대표권이 없고 감시권만을 가지므로 회사의 경영에 간섭하지 않습니다.
  • 유한책임사원은 지분의 양도가 비교적 자유로워 유동성이 높습니다.

합자회사의 단점

  • 무한책임사원은 회사의 채무에 대해 자기 재산까지 책임을 지므로 위험이 큽니다.
  • 유한책임사원은 회사의 업무집행 및 대표권이 없으므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 유한책임사원은 출자액 이상의 손실부담이 발생하면 지분이 마이너스가 되어 이익의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 합자회사는 사원의 수가 적고 자본규모가 작아 경제적 효율성이 낮습니다.
반응형

합자회사의 설립과 운영시 주의사항

 

합자회사를 설립하려면 무한책임사원과 유한책임사원이 될 자의 2인 이상이 정관을 작성하고 설립등기를 해야 합니다.

 

정관에는 합명회사의 정관에 기재해야 할 사항 외에 각 사원의 책임의 유한 또는 무한임을 기재해야 하며, 상호 중에는 합자회사의 문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각 사원의 무한책임 또는 유한책임인 것을 등기해야 합니다.

 

합자회사 운영시 주의사항

  • 무한책임사원은 회사의 업무집행 및 대표권을 가지며, 유한책임사원은 감시권만을 가집니다.
  • 무한책임사원은 다른 사원의 동의 없이 회사의 경쟁업을 하거나 다른 회사의 무한책임사원이 될 수 없습니다.
  • 무한책임사원은 다른 총사원의 동의가 있어야 지분을 양도할 수 있으며, 유한책임사원은 무한책임사원 전원의 동의가 있어야 지분을 양도할 수 있습니다.
  • 무한책임사원과 유한책임사원은 정관에 따라 손익을 분배하며, 유한책임사원은 출자액 이상의 손실부담이 발생하면 지분이 마이너스가 됩니다.

 

합자회사의 예시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1969년에 삼성그룹의 무한책임사원인 이병철과 일본의 유한책임사원인 NEC가 합자회사로 설립한 회사입니다. 삼성전자는 전자제품, 반도체, 디스플레이, 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1967년에 현대그룹의 무한책임사원인 정주영과 미국의 유한책임사원인 포드가 합자회사로 설립한 회사입니다. 현대자동차는 국내외에서 다양한 차종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합자회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합자회사(合資會社)는 무한책임사원과 유한책임사원으로 이루어지는 회사로서 무한책임사원이 경영하고 있는 사업에 유한책임사원이 자본을 제공하고 사업

ko.wikipedia.org

 

이상으로 합자회사의 장단점과 설립 및 예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합자회사는 무한책임사원과 유한책임사원이 협력하여 사업을 하는 회사형태로, 장점과 단점이 있으며, 설립과 운영에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합자회사의 예시로는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있습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