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의 경제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두환은 1980년부터 1988년까지 대한민국의 제11·12대 대통령으로 재임하였으며, 군사 정권을 수립하고 군사 독재를 행한 인물입니다. 전두환 정권의 경제 정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가 안정과 경제 성장
전두환 정권은 1980년대 초반에 국제적인 경제 위기와 국내의 민주화 운동에 직면하였습니다. 이에 전두환 정권은 물가 안정을 위해 공권력을 동원하여 공산품 가격 인상을 억제하고, 근로자 임금과 추곡 수매가 인상률을 낮추었습니다.
또한 수입규제를 풀어 공급비용을 줄이고, 예산을 동결하고 긴축하여 시중의 유동성을 제한하였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물가 상승률을 1981년 21.4%에서 1984년 2.3%로 낮추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물가 안정과 함께 경제 성장을 추구하였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중화학공업 부문의 중복투자를 조정하고, 금리와 통화를 탄력적으로 조정하여 투자를 촉진하였습니다. 또한 수출 주도 산업화를 계속하고,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기술 개발을 촉진하였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경제 성장률을 1981년 7.2%에서 1983년 13.4%로 높이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국토 개발과 사회 복지
전두환 정권은 국토 개발과 사회 복지에도 주력하였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서울 지하철 2, 3, 4호선을 건설하고, 한강 종합 개발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또한 농어촌 지역의 소득을 증대시키고, 유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소비자와 근로자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소비자 보호 종합 시책을 마련하고,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였습니다. 또한 의료보험 수혜 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하고, 국민 연금제도와 최저 연금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문화 산업과 3S 정책
전두환 정권은 문화 산업과 3S 정책을 통해 국민의 생활의 질을 향상하고자 하였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프로 스포츠 산업을 창설하고, 컬러텔레비전을 보급하였습니다.
또한 학원 두발과 복장을 자율화하고, 포르노 영화를 장려하였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성장, 스포츠, 섹스를 의미하는 3S 정책이라고 불리었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이러한 정책을 통해 국민의 문화적 소비를 확대하고, 광주 민주화 운동 등의 민주화 요구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려고 하였습니다.
비리와 탄압
전두환 정권은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을 이루었지만, 비리와 탄압으로 인해 국민의 비난을 받았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군부 출신의 인사들을 중심으로 정치와 경제의 권력을 독점하였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국가 공사와 사업을 통해 거액의 뇌물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정당인 민주 정의당을 유지하였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또한 언론과 학생, 노동자, 민주화 운동가들에게 강력한 탄압을 가하였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광주 민주화 운동을 진압하고, 박종철 고문 사망 사건을 일으키는 등 인권을 침해하였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1987년 6월 항쟁에 따라 민주화 선언을 하였지만, 그의 후계자로 노태우를 지명하고, 대통령 직선제를 실시하였습니다.
대통령별 경제정책 개요 > 전두환 대통령 > 제4,5차 경제/사회개발 5개년 계획 - 대통령기록연구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 제출하기
www.pa.go.kr
결론
전두환의 경제 정책은 물가 안정과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며, 국토 개발과 사회 복지, 문화 산업과 3S 정책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전두환의 경제 정책은 군사 독재의 틀에서 이루어졌으며, 비리와 탄압으로 국민의 불만을 쌓았습니다. 전두환의 경제 정책은 성과와 문제점을 모두 가진 복잡한 정책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