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예대금리차: 은행의 실적과 소비자의 고민

by 경제를배우자 2024. 12. 21.
반응형

예대금리차(예대마진)는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 간의 차이를 말합니다. 이는 은행의 주요 수익원으로 작용하며, 경제 및 금융 정책의 변화에 따라 매년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예대금리차와 관련된 주요 변화와 그 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예대금리차:은행의실적과소비자의고민-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홈으로 바로가기

 

예대금리차의 정의와 중요성

 

예대금리차는 은행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 간의 격차를 의미합니다.

  • 예금 금리는 은행이 예금을 유치하기 위해 고객에게 지급하는 이자율이고,
  • 대출 금리는 고객에게 돈을 빌려줄 때 부과하는 이자율입니다.

이 차이는 은행의 이익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일반적으로 대출 금리가 예금 금리보다 높아 이 차액이 은행의 주요 수익으로 이어집니다.

 

반응형

 

예대금리차의 확대 배경

 

올해 예대금리차는 특히 확대되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 시장 금리 하락: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대출금리가 시장 금리에 반응하지 않고 오히려 상승했습니다.
  • 대출 리스크 관리: 은행들이 가계대출 억제를 위해 대출 가산금리를 조정하면서 대출 금리가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 예금 금리의 하락: 은행권이 예금 금리를 낮추면서 예금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이 줄고 있습니다.

 

 

5대 은행의 예대금리차 현황

 

은행 예대금리차(%)
NH농협은행 1.22
국민은행 1.18
신한은행 1.01
하나은행 0.98
우리은행 0.81

 

 

 

예대금리차의 경제적 영향

 

예대금리차의 확대는 은행의 실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소비자와 경제 전반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 은행의 이익 증가: 은행들은 대출 증가와 높은 금리로 인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 중입니다.
  • 소비자 부담 증가: 높은 대출 금리는 소비자의 금융 비용을 증가시키며, 가계 경제에 부담을 줍니다.
  • 경제 활성화 저해: 금리 격차가 유지되면 내수 경기 부양과 경제 활성화 효과가 제한됩니다.

 

 

은행 대출의 경기순응성 완화와 거시건전성 효과

최근 금융업계에서는 은행 대출의 경기순응성 완화가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경기순응성이란 금융시스템이 경기 변동에 따라 대출 활동을 조절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경기가 좋을

economic-studies.tistory.com

 

 

 

신용환산율(CCF): 금융의 나침반을 이해하다

신용환산율(CCF, Credit Conversion Factor)은 금융 거래와 자산 관리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지표는 기업이나 개인이 난외자산(대출 약정 등)이 실제로 활용되어 난내자산(실제 자금 흐름)으로 전환

economic-studies.tistory.com

 

앞으로의 전망

 

전문가들은 예대금리차가 2025년 초까지 계속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은행권이 금리를 낮추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부의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보다 합리적인 금리 상품을 찾거나 대출 구조를 조정하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예대금리차는 은행과 소비자, 그리고 경제 전반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합니다. 올해 확대한 예대금리차는 금융 소비자와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을 필요로 합니다. 앞으로 금리 정책 변화와 시장 동향에 따라 이 차이가 어떻게 조정될지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