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더블딥 뜻과 사례 및 교훈에 대해 알아보자

by 경제를배우자 2024. 2. 9.
반응형

더블딥은 경제학자들이 사용하는 용어로, 경제의 불황과 회복이 반복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세계 대공황과 2차 오일 쇼크 등 역사적인 사건에서 볼 수 있습니다. 더블딥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더블딥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에 대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더블딥뜻과사례및교훈에대해알아보자-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홈으로 바로가기

 

더블딥 뜻

 

더블딥이란 두 번이라는 뜻의 'double’과 급강하하다는 뜻의 'dip’의 합성어로, 경기침체 이후 회복세를 보였던 경기상황이 다시 불황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경제성장률의 진행 모습이 알파벳 W자를 닮았다고 하여 'W자형 경기 회복’이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이와 다른 경기 회복의 형태로는 ‘V자형’, ‘U자형’, ‘L자형’ 등이 있습니다.

 

경기 회복의 형태 설명
V자형 경기가 급격하게 하락한 후 빠르게 회복하는 모양
U자형 경기가 하락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침체되었다가 점진적으로 회복하는 모양
L자형 경기가 하락한 후 회복세가 보이지 않고 장기간 침체되는 모양
W자형  경기가 하락한 후 일시적으로 회복되었다가 다시 하락하고 다시 회복하는 모양

 

 

반응형

 

더블딥의 대표적인 사례

 

더블딥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세계 대공황 (1929~1941)과 2차 오일 쇼크 (1979~1982)가 있습니다.

  • 세계 대공황은 1929년 미국의 월가에서 발생한 대규모 주식 폭락으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경제가 박살이 난 역사적 사건입니다. 1933년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이 뉴딜 정책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려고 했으나, 1937년에 긴축 재정 정책을 시행하면서 다시 경기가 침체되었습니다. 이러한 더블딥 현상은 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군수산업이 활성화되면서야 비로소 종식되었습니다.

 

  • 2차 오일 쇼크는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인해 중동의 석유 공급이 감소하면서 발생한 세계적인 유가상승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세계 경제는 인플레이션과 불황이 동시에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졌습니다. 1980년에는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이 긴축 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고 했으나, 이는 경기를 더욱 악화시켰습니다. 이러한 더블딥 현상은 1982년에 세계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끝났습니다.

 

더블딥의 원인과 교훈

 

더블딥의 원인은 경기 회복기에 시행된 과도한 긴축 정책이었습니다. 긴축 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재정 균형을 맞추는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나, 이는 시장의 유동성을 감소시키고 총수요와 소비를 줄여서 다시 경기 침체를 유발했습니다.

 

반면, 긴축 정책을 시행하지 않으면 통화 유동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되고, 장기 국채 수익률과 대출 금리가 상승하여 스태그플레이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더블딥에서 배우는 교훈

  • 경기 회복기에는 적절한 정책 조율이 필요하다. 과도한 긴축 정책이나 완화 정책은 경기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 경기 변동에 대비하여 유연하고 다변화된 경제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특정 산업이나 자원에 의존하는 경제는 외부 충격에 취약하다.

 

  • 국제 협력과 협조를 강화해야 한다. 세계 경제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 국가의 정책이 다른 국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국제기구나 단체를 통해 정보 공유와 정책 조정을 해야 한다.

 

마치며

 

이상으로 더블딥의 뜻과 예시 및 교훈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더블딥은 경제의 불황과 회복이 반복되는 현상으로, 세계 대공황과 2차 오일 쇼크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더블딥의 주요 원인은 경기 회복기에 시행된 과도한 긴축 정책이며, 이로부터 경제의 유연성, 다변성, 협력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