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프 (김치 프리미엄)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by 경제를배우자 2024. 5. 11.
반응형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가상화폐)를 투자하시는 분들이라면 김프라는 용어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김프는 국내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코인의 가격이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코인의 가격보다 높은 현상을 말합니다. 김프는 김치와 프리미엄의 합성어로,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인 김치에서 유래했습니다.

 

김프는 암호화폐 시장의 특징과 한국의 규제 상황에 따라 변동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김프가 어떻게 발생하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김프(김치프리미엄)이란무엇이고왜중요한가?-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홈으로 바로가기

 

김프가 발생하는 이유

 

김프가 발생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국내 거래소와 해외 거래소의 유동성 차이입니다. 유동성이란 코인을 쉽게 사고팔 수 있는 정도를 말하는데요, 국내 거래소는 해외 거래소에 비해 유동성이 낮습니다. 즉, 국내 거래소에서는 코인의 수요와 공급이 불균형하게 되어 가격이 높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해외 거래소에서는 코인의 수요와 공급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 가격이 낮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국내 거래소와 해외 거래소의 가격 차이가 김프를 만들어냅니다.

 

둘째, 국내 거래소의 입출금 제한입니다. 국내 거래소는 외환거래법에 따라 원화 입출금에 제한이 있습니다. 즉, 국내 거래소에서 코인을 사고 해외 거래소로 보내거나, 해외 거래소에서 코인을 사고 국내 거래소로 보내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입출금 제한은 국내 거래소와 해외 거래소의 가격 차이를 줄이기 어렵게 만듭니다. 즉, 김프를 유지하거나 증대시킵니다.

 

반응형

 

김프를 확인하고 활용하는 방법

 

  • 김프를 확인하는 방법: 김프를 확인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국내 거래소와 해외 거래소의 코인 가격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경우 국내 거래소 업비트와 해외 거래소 바이낸스의 가격을 비교하면 김프를 알 수 있습니다. 김프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김프= (국내거래소가격−해외거래소가격)   / 해외거래소가격 ​×100

 

 

  • 김프를 활용하는 방법: 김프를 활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김프 매매입니다. 김프 매매란 김프가 높을 때 해외 거래소에서 코인을 사고 국내 거래소에서 팔거나, 김프가 낮을 때 국내 거래소에서 코인을 사고 해외 거래소에서 팔아 차익을 얻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김프가 10% 일 때, 해외 거래소에서 100만 원에 비트코인을 사고 국내 거래소에서 110만 원에 팔면 10만 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비트코인의 김프가 -10% 일 때, 국내 거래소에서 100만 원에 비트코인을 사고 해외 거래소에서 90만 원에 팔면 10만 원의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김프 매매는 입출금 수수료, 환율 변동, 시세 변동 등의 요인을 고려해야 하므로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가상화폐 투자 방법 (아주 쉬운 설명)

가상화폐는 인터넷상에서 거래할 수 있는 디지털 화폐입니다. 가상화폐는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관리하지 않고,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통해 안전하고 투명하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

economic-studies.tistory.com

 

 

 

선물거래와 현물거래의 차이점

선물거래와 현물거래는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현물거래는 즉시 소유하고 매매하는 반면, 선물거래는 미래 날짜에 발생할 거래에 대한 계약을 맺습니다. 두 가지

economic-studies.tistory.com

 

마치며

 

김프는 암호화폐 시장의 흥미로운 현상 중 하나입니다. 김프는 국내 거래소와 해외 거래소의 유동성 차이와 입출금 제한에 따라 발생하고 변동됩니다. 김프를 확인하고 활용하려면 국내 거래소와 해외 거래소의 코인 가격을 비교하고, 김프 매매를 통해 차익을 얻거나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김프는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이자 기회이므로 잘 알아두시고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