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융유통시장의 경제적기능

by 경제를배우자 2023. 10. 22.
반응형

금융시장은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자금을 거래하는 장소입니다. 금융시장은 만기, 거래방식, 거래장소 등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금융유통시장은 이미 발행된 증권이 거래되는 시장으로, 증권거래소와 같은 구체적인 유형의 시장이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금융유통시장이 국민경제에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금융유통시장의경제적기능-파란바탕-하얀글씨-썸네일이미지

 

금융유통시장의 정의와 특징

 

금융유통시장은 발행시장을 통해 시장으로 나온 돈이나 증권이 다시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발행시장은 최초로 자금이 자금의 수요자에게 전달되는 시장으로서 증권거래소와 같은 구체적인 거래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유통시장은 발행된 증권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시장으로서 증권거래소와 같은 구체적인 유형의 시장이 존재합니다.

 

금융유통시장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금융유통시장은 증권의 유동성을 제공합니다. 유동성이란 증권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유동성이 높으면 증권을 쉽게 매도하거나 매수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에게 유리합니다.
  • 금융유통시장은 증권의 가격결정 기능을 합니다. 증권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가격이 상승하고, 반대로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가격이 하락합니다. 이렇게 결정된 가격은 투자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들에게 투자수익률을 반영합니다.
  • 금융유통시장은 자산 재분배 기능을 합니다. 자산 재분배란 효율적인 자산배분을 위해 자산을 재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들은 자신의 투자목표나 위험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증권을 매매하며 자산구성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자산의 수익률과 위험을 균형 잡게 할 수 있습니다.

 

금융유통시장의 종류와 예시

 

금융유통시장은 거래되는 증권의 종류에 따라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은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채권시장은 정부나 기업이 발행한 채무증서가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 주식시장: 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다우존스, S&P 500 등
  • 채권시장: 국채, 회사채, 지방채, 외국채, 변동금리채, 무보증채 등

 

금융유통시장의 경제적기능

 

  • 자금중개 기능: 금융유통시장은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하여 자금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들은 금융유통시장을 통해 자신의 여유자금을 투자수익이 높은 기업이나 정부에 공급할 수 있고, 반대로 기업이나 정부는 금융유통시장을 통해 자신의 자금부족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 가격발견 기능: 금융유통시장은 증권의 가격을 결정함으로써 시장에 공급되는 정보를 반영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가격은 기업의 경영실적이나 미래전망 등을 반영하고, 채권가격은 이자율이나 신용도 등을 반영합니다. 이렇게 결정된 가격은 투자자들에게 투자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들에게 투자수익률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 위험분산 기능: 금융유통시장은 투자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증권을 매매하면서 위험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들은 주식과 채권의 비중을 조절하거나, 국내와 해외의 증권을 혼합하거나, 파생상품을 활용하거나 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위험 수준에 맞게 자산배분을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특정한 위험요인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금융유통시장의 경제적기능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금융유통시장은 이미 발행된 증권이 거래되는 시장으로서 유동성, 가격결정, 자산 재분배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유통시장은 자금중개, 가격발견, 위험분산 등의 경제적 기능을 수행하여 국민경제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금융유통시장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금융거래를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